top of page
검색

"뇌파로 의사소통"…한양대, 환자 대상 연구서 가능성 확인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생체신호인 뇌파를 이용해 '예', '아니오' 정도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1년 이상 의사소통을 못 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이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기술이 상용화되면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자의 생각을 어느 정도 파악해 이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양대 연구진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BCI) 기술을 이용한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손의 움직임을 상상할 때와 암산을 할 때 사람의 뇌에서 각각 다른 패턴의 뇌파가 발생한다는 데 주목했다. 이를 각각 '예'와 '아니오'에 대응한 시스템을 구상했다. 가령 '예'라고 대답하고 싶으면 왼손의 움직임을 상상하고, '아니오'라고 대답하고 싶으면 505에서 9를 빼는 암산을 하는 식이다. 그러면 말이나 몸짓 없이 뇌파 측정만으로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연구진은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완전감금증후군(Completely Locked-in Syndrome·CLIS) 환자를 대상으로 새 시스템이 제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완전감금증후군은 의식이 어느 정도는 남아 있지만, 신체 근육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증상을 보인다. 이에 외부와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1년 이상 의사소통이 단절돼있던 완전감금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이 방법은 87.5%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2017년 오스트리아 연구진이 특정 촉각 반응에 반응하는 뇌파를 분석하면 완전감금증후군 환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바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촉각 자극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환자의 뇌파만으로 실시간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는 "완전감금증후군 환자와 뇌파를 이용해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가능함을 실증했다"며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파생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아직 개발된 시스템이 모든 완전감금증후군 환자에게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닌 만큼 많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신경공학과 재활학회지'(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에 실렸다.


sun@yna.co.kr

조회수 24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에도 뇌공학연구센터 소속 교수님들의 연구 동향이 여러 언론에서 소개되었습니다. 아래에 기사를 모았습니다. 한양대 연구팀, 뇌파에 기계학습 적용...제네시스 G90 '무드큐레이터' 효과 검증 - 임창환 교수님 --> https://www.fnnews.com/news/202210070942327020 한양대 이병훈 교수, 무선충전 상황서 데이터 송수신

한양대 뇌공학연구센터 소속 교수 4인이 2021년 한국연구재단의 미래뇌융합기술개발사업을 대거 주수하였습니다. 참고로 2021년 미래뇌융합기술개발사업은 4개의 총괄과제로 구성되는데 한양대 뇌공학연구센터 소속 교수진 4인이 과제를 수주하였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장동표 교수: 복합형 웨어러블 시스템 기반 장시간 뇌기능 Event 및 Rhy

게시물: Blog2_Post
bottom of page